사【思】
[梵 cetanā, citta-abhisaṃ- skāra, 巴 sems pa, 英 Think, thought; turn to the attention] 10대지법(十大地法)의 하나. 5변행심소(五遍行心所)의 하나. 조작(造作)이라는 뜻. 자석에 쇠붙이를 움직이게 하는 힘이 있는 것처럼, 대상, 즉 경계(境界; sphere; region; realm; as above)에 대하여 마음을 움직이게 하여 선(善)‧악(惡)‧무기(無記)의 업(業)을 짓게 하는 정신작용. 구체적인 행동을 일으키는 의지작용(意志作用)을 말한다. 이 의지작용을 통 |
사【捨】
[梵 upekṣā, 巴 dīyate ye- na, 英 neglect, indifference, a- bandoning] ①3수(受)‧5수(受)의 하나. 고(苦)‧락(樂)‧우(憂)‧희(喜)처럼 치우친 감각이 아니고, 심신(心身)에 고통도 즐거움도 느끼지 않는 일종의 무덤덤한 감각작용. ②대선지법(大善地法; kuśalamahābhūmika)의 하나. 마음이 침울하지도 않고 부동(浮動)하지도 않는 중용(中庸)을 얻은 정신작용을 말함. |
사【事】
[梵 vastu, vṛtti, dravya, 巴 kāya-saṅkhāra, 西 rdsas] 일반적으로는 일, 사물, 일어난 일 등의 뜻. 불법(佛法)에서는 사상(事相)‧사법(事法)을 나타낸다. 이(理)의 상대적인 말. 일체제법의 차별적인 현상면(現象面)을 말한다. 또 연기(緣起; pratityasamutpada)에 의하여 일어나는 만유의 현상을 말한다. 이(理)가 보편성‧평등성인 데 비하여, 사(事)는 개별성‧차별성을 갖는다. 우주 삼라만상의 사상(事相)이 사(事)이고 사상(事相)을 꿰뚫는 보편의 법칙이 이(理)이다. 석존 시대에는 |
사가【四假】
①「삼론현의(三論玄義)」에서 설한 인연가(因緣假)‧수연가(隨緣假)‧대연가(對緣假)‧취연가(就緣假)를 말한다. 이 사가(四假)는 모두 십이부경(十二部經)인 8만의 법장(法藏)에 섭취되므로, 사제(四諦)가 사가(四假)를 구용(具用)한다. 다만 「지도론(智度論)」에서는 인연가를 많이 썼고, 「중론(中論)」‧「십이부론(十二部論)」에서는 취연가를, 「백론(百論)」에서는 대연가를 흔히 썼다고 한다. ②「성실론(成實論)」에서 설한 인생가(因生假)‧연성가(緣成假)‧상대가(相待假)‧상속가(相續假)를 말한다. |
사가어록【四家語錄】
6권. 편자 미상. 중국 선종(禪宗)의 6조 혜능(慧能, 638-713)의 법손(法孫)인 마조도일(馬祖道一, 709-788)‧백장회해(百丈懷海, 720-814)‧황벽희운(黃檗希運, ?-850)‧임제의현(臨濟義玄, ?-867) 등이 차례로 상승한 네 조사의 어록을 모은 것이다. ㅅ |
사가행【四加行】
①대승의 법상종에서는 난(煖)‧정(頂)‧인(忍)‧세제일(世第一) 등 사선근(四善根; catuṣ- kuśala-mūla)을 오위(五位) 가운데 방행위(方行位)로 삼았기 때문에, 사가행(四加行)은 사선근(四善根)의 다른 명칭이다. ②유식(唯識) 오위(五位) 가운데 제2의 가행위(加行位). 난(煖)‧정(頂)‧인(忍)‧세제일법(世第一法)의 4종으로 차별하므로 사가행(四加行)이라 한다. |
사가행위【四加行位】
사선근위(四善根位)‧순결택분(純決擇分)이라고도 한다. 보살계위(菩薩階位)인 5위(位)의 두 번째. 난(煖)‧정(頂)‧인(忍)‧세제일법(世第一法) 등 4위(位)는 십회향(十廻向)의 지위가 원만하여 다음 통달위(通達位)에 이르기 위해 특히 애써서 수행(修行)하는 자리이다. |
사개법요【四箇法要】
대법회 때에 반드시 행해야 하는 법회의 작법(作法). 처음에 4구(句)의 게송을 범패 형식으로 부르는데, 소리 중에서 보면(譜面)이 가장 길어, 이것으로 제연(諸緣)을 멈추고 마음을 가라앉힌다. 이어서 산화(散華)라고 하여 또 4구의 게를 부르면서 꽃을 던져 악귀를 쫓아내고, 불상을 깨끗이 한다. 이때 던지는 꽃은 하계(下界)의 정토를 의미한다. 셋째로 범음(梵音)이라고 하는 8구(句)의 게(偈)의 정음(淨音)을 부르며, 삼보(三寶)에게 공양한다. 그리고 넷째로 손에 석장(錫杖)을 들고 3절 33구의 게(偈)를 부르며, 각 절의 끝 |
사거【四車】
[英 The four vehicles 四乘 of the Lotus sūtra] 「법화경」 「비유품」에서 말하는 양거(羊車; 聲聞乘에 비유함)‧녹거(鹿車; 緣覺乘에 비유함)‧우거(牛車; 菩薩乘에 비유함)‧대백우거(大白牛車; 一佛乘에 비유함)를 말한다. |
사겁【四劫】
[英 The four kalpas, or epochs, of a world] 성‧주‧괴‧공(成‧住‧壞‧空) 항목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