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전 : 불교용어에 대한 모든 지식

바가바드기타【Bhagavadgītā】

인도정신을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힌두교의 성전(聖典). 오늘날 전하는 인도의 대서사시 『마하바라타』의 제6권 제23장부터 제40장에 걸친 전(全) 18장 700 시절(詩節)이 『바가바드기타』를 구성하고 있다. 바가바드란 지복자(至福者), 주신(主神)을 의미하고, 기타는 노래[歌]를 의미하므로, 바가바드기타란 ‘주신의 노래’가 된다. 『마하바라타』의 테마는 서북 인도에서 전개된 바라타족의 왕위계승전쟁이다. 이 동족 간 골육상잔의 전쟁은 판다바(Pāṇḍava) 5형제와 사촌인 카우라바(Kaurava) 100형제들 간의 싸움이다. 『바가

바라문【婆羅門】

[梵 Brāhamaṇa] 인도의 사회계급제도인 사성(四姓) 가운데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종족으로서, 사제(司祭)계급이다. 그들의 생활에는 범행(梵行)‧가주(家住)‧임서(林棲)‧유행(流行)의 4시기가 있다. 어렸을 때에는 부모 곁에 있다가, 좀 자라면 집을 떠나 스승을 모시고 『베다』를 학습한다. 장년기에 이르면 다시 집으로 돌아와 결혼하여 사는데, 늙으면 집안 살림을 아들에게 맡기고 숲 속에 들어가 수행한 뒤에 다시 밖으로 나와 사방으로 떠돌아다니며 세상의 모든 일을 초탈하고 남들이 주는 시물(施物)로써 생활한다고 한다.

바라문교【婆羅門敎】

[英 Brahmani- sm] 특정한 개조(開祖)가 없는 고대 인도의 종교. 불교 흥기 이전에 바라문계급을 중심으로 베다성전에 근거하여 발달한 종교인데, 그 이후 인도 토착의 여러 요소와 결합하여 성립해 온 힌두교와 구분하려고 서양 학자들이 붙인 호칭. B.C.1500년경을 전후하여 아리아인들은 아프가니스탄에서 힌두큐슈산맥을 넘어서 판쟙(五河)지방에 진입한 이후로, 차츰 동쪽으로 옮겨가면서 점차 정주(定住)하여 농경에 종사함으로써 씨족농촌사회를 확립했다. 이때 바라문계급을 정점(頂点)으로 하는 사성제도(四姓制度; varṇa)가 발달

바라밀【波羅蜜】

[梵 pāramitā, 巴 pārami, pāramitā] 중국 당(唐)나라 때의 스님인 현장[602-664] 이후의 신역(新譯)에서는 바라밀다(波羅蜜多)라고 음역(音譯)한다. 이 말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지만,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구별할 수 있다. 1. pāramitā의 어원은 ‘최고’‧‘최상’을 의미하는 형용사 pa- rama인데, 그것의 여성명사인 pā- rami에 ‘상태’를 의미하는 동시에 추상명사를 만드는 어미인 tā를 붙여 pāramitā로 했다는 설이 있다. 이 설에 따르면 그 어의(語義)는 ‘

바라이【波羅夷】

[梵 pārājikā, 英 The first section of the Vinaya piṭaka containing rules of expulsion from the order, for unpardonable sin] 계율 가운데 가장 무겁고 엄한 계율. 이 계율을 범하면 승려로서 생명이 없어지고 자격을 잃게 되는데, 승단에서 쫓겨나 함께 살 수 없을 뿐 아니라, 길이 불법(佛法)에서 버림을 받아서 죽은 뒤에는 아비지옥(阿鼻地獄; avici)에 떨어진다고 한다. 비구의 경우에는 살생(殺生)‧투도(偸盜)‧사음(邪淫)‧망어(妄語)를 4

바라이죄【波羅夷罪】

[梵 pārājikā] 계율 가운데 가장 무겁고 엄한 계율을 범한 죄. 승단에서 추방되는 죄. 바라이 항목을 참조할 것.

바라제목차【波羅提木叉】

[梵 prāti- mokṣa, 英 emancipation, deliverance, absolution] 계본(戒本)‧계율의 조목. 계율의 세 이름 가운데 하나로, 바라제목차(婆羅提木叉)‧발라저목차(鉢喇底木叉)라고도 음역한다. 별해탈(別解脫), 또는 처처해탈(處處解脫)이라고 번역한다. 칠중(七衆)이 받는 계율로, 각각 신체‧언어로 짓는 허물을 따로따로 방지하는 계율이다.

바라춤【婆囉-】

의식무용의 하나. 불전(佛前)에서 재(齋)를 올릴 때 천수다라니(千手陀羅尼)를 외면서 추는 춤으로, 제금(提琴)보다 큰 기발라(嗜哱囉)를 양손에 들고 춤춘다.

바루【pātra】

스님들이 사용하는 식기. 발우의 비칭(卑稱). 발우 항목을 참조할 것.

바루공양【-供養】

스님들의 식사(食事) 의식. 발우 항목을 참조할 것.

12345678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