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전 : 불교용어에 대한 모든 지식

파계【破戒】

[梵 duḥśila, śila-vipan- na, saithilika; 巴 śila-vipatti, 西 tshul khrims ḥchal ba, 英 To break the commandments] 한 번 계(戒)를 받은 사람이 몸‧입‧뜻의 삼업(三業)을 청정히 지키지 못하고 파계하는 것. 범계(犯戒)라고도 한다. 파계는 자기를 해롭게 하고, 나쁜 이름이 나며, 지혜 있는 이에게 꾸중을 듣고, 죽을 때에 후회되며, 죽어서는 악도에 떨어진다.

파드마삼바바【Padmasaṁbhava; 蓮華生】

티베트 라마(Rama)불교의 개조(開祖). 티베트에서는 구루 린포체[名譽敎主]라 한다. 북인도 오장나국(鳥仗那國) 사람. 747년 티베트왕 티송데첸의 초청을 받고 티베트에 가서 티베트불교의 기초를 다졌다. 티베트에 머물면서 전후 수십 년 동안 훌륭한 사원을 창건했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사원은 산타라크쉬타와 함께 세운 삼예사원이다. 그는 항상 금강저(金剛杵)를 가지고 국내의 요물들을 제압하고, 뵌교(Bön敎)에서 말하는 금주설(禁呪說)을 깨뜨리고 불교를 찬양하였다. 이리하여 티베트 특유의 비밀교인 라마교를 대성시켰다. 그는 제자

파라미타【波羅未陀】

[梵 paramār- tha] 범어(梵語) ‘paramārtha’의 음역(音譯)으로, 한역(漢譯)하면 제일의(第一義)인데, 최고의 진리, 공(空)의 이치를 뜻한다.

파립【破立】

[英 Refuting and establishing] 차조(遮照)라고도 한다. 만법(萬法)을 파(破)하여 진공(眞空)의 이치를 나타내는 것을 파(破)라 하고, 만법의 연기(緣起)를 논하여 묘유(妙有)의 뜻을 나타내는 것을 입(立)이라 한다. 곧 이것은 공유(空有)의 이문(二門)이다. 삼론학(三論學)은 공문(空門)에 의하여 제법(諸法)을 파(破)하였고, 법상학(法相學)은 유문(有門)에 의하여 제법을 세웠다.

파법변【破法徧】

천태학에서 말하는 십승관법의 제4. 일심삼관(一心三觀)의 지혜로써 모든 삿된 고집을 두루 파멸하는 것. 선교안심지관(善巧安心止觀)으로 깨닫지 못한 사람은 다시 이 관법을 닦는다.

파사현정【破邪顯正】

[英 To break, or disprove the false and make manifest the right] 사도(邪道)를 파척(破斥)하고 정리(正理)를 나타냄. 모든 종파는 모두 파사현정을 종취(宗趣)로 삼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삼론종(三論宗)은 파사현정을 강조한다. 그들의 파척(破斥) 대상은 외도(外道)‧비담(毘曇)‧성실(成實)‧대집(大執)이고, 현정(顯正)의 대상은 인정(人正)과 법정(法正)이다. 또 그들은 파사(破邪) 밖에 따로 현정(顯正)이 있는 것이 아니라, 파사하는 것이 그대로 현정이라고 주장한다.

파상종【破相宗】

[英 The sect established by Yung-ming 永明, Ching-ying 淨影, and Hui-yüan 慧遠, which held the unreality of all things] ①모든 법은 다 인연으로 생겼고, 인연으로 생긴 까닭에 자성(自性)이 없다. 그러므로 모든 법은 공(空)한 것이고, 그 공한 것도 역시 공(空)하다고 하여 유상(有相)과 공상(空相)을 함께 파(破)하는 것을 파상종이라 한다. 이것은 『반야경(般若經)』‧『중론(中論)』 등에서 밝힌 종지이며, 화엄종 오교(五敎)의 시교(始敎) 중 공시교

파성종【破性宗】

중국 수(隋)나라 때 정양사의 고승인 혜원(慧遠, 523- 592)이 세운 4종 교판 가운데 하나. 소승 가운데 근기가 깊은 사람들에게 설해진 것으로서, 모든 사물과 현상, 존재는 임시적 존재이며 본체가 없다고 설한다. 그러므로 입성종(立性宗)에서 법(法)의 본체를 인정하는 것과는 다르다. 곧 이 입장에서는 법(法)이 본체는 없지만 임시 모습마저 없는 것은 아니다. 임시 모습의 실재성은 인정한다. 『성실론(成實論)』의 교설이 여기에 해당한다. 중국 제나라 대연사의 담은(曇隱)이 세운 사종(四宗; 因緣宗‧假名宗‧不眞宗‧眞宗) 가운데

파순【波旬】

[梵 pāpiyas, pāpiman, 巴 pāpimā] 파비야(波卑夜)‧파비연(波卑掾)‧파비(播裨)라 음역하고, 살자(殺者)‧악자(惡者)라 번역한다. 욕계 6천의 임금인 마왕의 이름. 항상 악한 뜻을 품고 나쁜 법을 만들어, 수도인의 마음을 요란하게 하고 사람의 혜명(慧命)을 끊는다고 한다. 당(唐)의 혜림(慧琳, 737-820)은 순(旬)은 현(眴)의 오기(誤記)라고 한다.

파유【破有】

[英 To refute the be- lief in the reality of things] ①삼계의 생사를 뛰어넘음. 유(有)는 삼계의 생사를 말하는 것이다. ②유견(有見)을 파(破)함.

12345678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