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전 : 불교용어에 대한 모든 지식

자【慈】

[梵 maitri, 巴 mettā, 英 Affection, mercy] 사무량심(四無量心; 慈‧悲‧喜‧捨)의 하나. 성냄이 없는 것을 근본으로 하여 모든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을 자(慈)라고 한다.

자각【自覺】

[梵 sva-prayātma-bu- ddhi, pratyatma-adhigama, 巴 sayaṃ abhiññā, sayamabhiñ- ñaya, 英 consciousness; awa- kening; awareness] ①삼각(三覺: 自覺‧覺他‧覺行窮滿)의 하나. 부처님 자리(自利)의 덕. 스스로 깨달아 알지 못함이 없는 것. 중생이 자신의 미(迷)함을 돌이켜서 깨닫는 것. ②자기 자신의 위치‧능력‧가치‧의무‧사명 등을 스스로 깨닫는 것.

자경문【自警文】

고려 말기의 스님인 야운(野雲)이 지은 책. 1권 1책. 총 1,987자(字). 자기 자신을 경책(警策)하는 명구 잠언(箴言)으로, 1. 부드러운 옷과 맛있는 음식은 수용(受用)하지 말라, 2. 자기의 재물에 인색하지 말고 남의 물건에는 욕심을 내지 말라, 3. 많은 말을 하지 말며, 경망(輕妄)하게 움직이지 말라, 4. 어진 벗을 가까이하고 나쁜 벗은 사귀지 말라, 5. 삼경(三更) 이외에는 잠을 자지 말라, 6. 자기를 추켜올리거나, 다른 사람을 업신여기지 말라, 7. 재물과 여색(女色)을 보거든 반드시 정념(正念)으로 대처하라

자과【子果】

[英 Seed and fruit; seed-produced fruit] 자(子)는 종자. 종자가 낳은 과(果)를 자과(子果)라 하고, 과(果)가 낳는 종자를 과자(果子)라 한다. 오온(五蘊)의 과보는 과거의 번뇌가 낳은 과이므로 자과(子果)라 하는데, 소승의 아라한은 아직 이것을 끊지 못하고 무여열반에 들어가서야 영원히 없어진다. 한편 금생의 번뇌에 의한 미래의 보과(報果)를 과자(果子)라 하는데, 아라한은 내세의 과보가 없으므로 과자가 없다. 여래의 현재의 과보는 소승에게 자과가 있는 것과 같고, 후생의 과보와 후후(後後)의 과보

자내소증【自內所證】

[梵 pratyātma- vedaniya] 자기 내심의 깨달은 것.

자내증【自內証】

[英 Inner witness] 자기 내심(內心)의 깨달음. 자기(自己) 내심(內心)의 증오(証悟). 자내소증과 같은 뜻.

자량【資糧】

[梵 saṃbhāra, nimit- ta, bhoga, 西 tshogs, 英 Sup- plies for body or soul, e.g. food, Imagiving, wisdom, etc.] 자재(資財)와 식량(食糧). 보살 수행의 5위(五位; 資糧位‧加行位‧通達位‧修習位‧究竟位) 가운데 처음을 자량위(資糧位)라 한다. 보리(菩提)‧열반(涅槃)에 이르기 위하여 여러 가지 선근공덕을 모은다는 뜻이다.

자력종【自力宗】

자력수행(自力修行)을 취지로 하여 가르치는 종파. 여러 종파들 가운데 정토종(淨土宗)과 유식학파(唯識學派)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모두 자력수행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선종(禪宗)이 대표적이다.

자륜관【字輪觀】

밀교에서 심장(心藏)인 심월륜(心月輪) 위에 글자를 자재하게 관하는 관법. 본존(本尊)의 의밀(意密)과 중생의 의밀이 일체무이(一體無二)라고 관하는 것. 먼저 법계정인(法界定印)이나 미타정인(彌陀定印)에 주(住)하여, 나의 심월륜(心月輪) 위에 아(阿)‧바(縛)‧라(羅)‧하(賀)‧카(佉)의 다섯 자가 우(右)로 돌아간다 하고, 명상하여 관한다. 관하는 방법은 아자(阿字) 제법본불생불가득(諸法本不生不可得)인 까닭에 바자(縛字) 자성언설불가득(自性言說不可得)이며, 바자 자성언설불가득인 까닭에 라자(羅字) 진구불가득(塵垢不可得)이며, 라

자리이타【自利利他】

[梵 ātma-hita parahita, 英 ‘self-profit profit others’, i.e. the essential nature and work of a bodhisattva, to benefit himself and benefit others] 성문(聲聞) 연각(緣覺)의 행(行)을 자리(自利)라 하고, 제불보살의 행을 자리이타(自利利他)라 한다. 자리(自利; ātma-hitam)는 주로 자기를 위하여 수행하는 것이요, 이타(利他; para- hitam)는 다른 이를 위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이 자리이타를 완전하고 원

12345678910